Server Core를 설치하여 CSV 구성 방법
[환경]
Physical 1 : Windows Data Center Core, 192.168.0.159
Physical 2 : Windows Data Center Core, 192.168.0.167
iSCSI Storage : 192.168.0.131
[작업 순서]
- Physical1과 Physical2에 Windows Data Center Core를 설치합니다.
- Server Core 설치 후 기본 설정을 합니다.
참고 URL : http://technet.microsoft.com/ko-kr/library/cc753802(WS.10).aspx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 변경
- IP 구성
- DNS 구성
- 서버 이름 변경
- 제품키 입력
- 서버 활성화
- 원격 데스크톱 설정
- 윈도우 업데이트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목록을 봅니다.
netsh interface ipv4 show interfaces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을 변경합니다.
Netsh int set interface name = "로컬 영역 연결" newname = "Public" 그런 다음
1번의 명령어로 바뀐 이름을 확인합니다.
- IP, Mask, Gateway를 설정합니다.
Netsh interface ipv4 set address name="public" source=static address=192.168.0.117 mask=255.255.255.0 gateway=192.168.0.1
- DNS를 구성합니다.
netsh interface ipv4 set dnsserver "public" static 192.168.0.12
Ipconfig /all 명령어로 정상적으로 구성 되었는지 확인 합니다. Ipconfig
- 서버의 이름을 변경합니다. Y를 입력합니다.
Netdom renamecomputer machine /newname:new-name
Machine은 이름을 바꿀 워크스테이션 또는 구성원 서버의 이름입니다. New-name은 새로운 서버 이름입니다.
- 서버를 재시작합니다.
- 서버 제품 키를 입력합니다.(시디키 관련상 화면 생략)
slmgr.vbs –ipk<productkey>
- 서버를 활성화 합니다.(정품인증 후 활성화)
- 원격 데스크톱 설정
- 방화벽 Disable
- 마지막으로 도메인에 조인을 합니다.
netdom join <ComputerName> /domain:<DomainName> /userd:<UserName> /passwordd:*
ComputerName은 Core로 설치한 서버입니다.
DomainName 도메인 이름입니다.UserName 도메인에 가입할 수 있는 사용자입니다.
- 서버를 재부팅합니다.
참고로 2008 R2부터는 Sconfig 명령어로 쉽게 서버 구성을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및 필요한 모든 설정을 진행하도록 합니다
- 두 서버 모두에 Hyper-V를 설치합니다.
Dism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Hyper-V
각 기능을 설치하는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http://technet.microsoft.com/en-us/library/ee441260(WS.10).aspx>
- 두대의 서버에 Failover 클러스터를 설치합니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FailoverCluster-Core
- 만약 스토리지가 iSCSI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두 서버 모두에서 설정합니다.
- "예"를 클릭하여 서비스를 자동으로 실행되도록합니다.
- "포털 검색"을 클릭한 후 iSCSI의 IP를 입력합니다.
- "대상"탭에서 "연결"버튼을 클릭하여 모든 디스크를 연결합니다.
- "볼륨 및 장치"탭에서 "자동 구성"을 클릭합니다.
- Diskpart를 입력하여 디스크가 모두 추가 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두대의 서버에서 클러스터 디스크로 구성된 1,2,3번(0번은 로컬 C드라이브)을 모두 온라인 시킵니다.
- 모든 클러스터 디스크를 쓰기가 가능한 형태로 변경합니다. "Attributes Disk Clear ReadOnly"
- Detail disk 명령어로 모든 디스크가 읽기 전용이 "아니요"라는 것을 확인합니다.
- 디스크에 파티션을 만듭니다. CSV로 사용할 것이므로 파티션 크기는 나누지 않습니다. 그리고 모든 디스크를 포맷합니다. 이 모든 작업은 한쪽 서버에서 하면됩니다. "Create partition primary" 디스크 용량이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클러스터 준비]
CSV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failover cluster를 만들어야 합니다. CSV를 사용한다고 해서 특별히 다른 failover cluster 구성이 필요한 것은 아니며, 여전히 iSCSI, Fibre Channel, SAS 등을 지원합니다. CSV는 NTFS 파일 시스템에서만 작동합니다.
네트워크의 경우 public network, CSV를 위한 전용 네트워크, heartbeat 통신을 위한 private network, Live Migration을 위한 전용 네트워크를 모두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권장되며, 특히 Live Migration 네트워크는 1Gb 이상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private network와 Live Migration을 동일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경우 Live Migration 트래픽으로 health-check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iSCSI를 사용하는 경우 iSCSI를 위한 네트워크를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모든 사항을 확인한 후 failover clustering을 구성하고, CSV 디스크는 동일한 경로로 액세스가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운영체제가 동일한 드라이브 문자명 (예를 들어 C:\)에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운영체제가 각 노드에서 서로 다른 드라이브에 설치된 경우 CSV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CSV는 Hyper-V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클러스터의 각 노드에 Hyper-V 역할을 추가합니다.
[클러스터 구성]
도메인에 조인된 Windows 7에 원격 관리도구를 설치하고 클러스터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그런 다음 클러스터를 만듭니다. 아래화면은 만드는 도중 유효성 검사 화면입니다.
아래와 같이 CSV는 Hyper-V 역할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경고가 표시됩니다.
[이름]에 적절한 가상 머신의 이름을 입력하고 "가상 컴퓨터를 다른 위치에 저장"을 체크한 후 저장 경로를 CSV 디스크인 "C:\ClusterStorage\" 폴더 아래의 가상 머신 파일 경로로 지정합니다.
[Server Core에서 MPIO 설치]
만약 Multi-Path IO를 구성하고 한다면 MPIO를 설치해야합니다.
Server Core는 서버 관리자 도구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명령 도구를 사용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DISM 도구를 사용하여 MPIO를 enable하기 전까지 mpclaim 명령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Until you enable MPIO by using the DISM tool, you cannot use the mpclaim command.
Open a command prompt to run the following commands. After typing a command, press ENTER.
Task | Command | ||
Determine which features are currently installed | Dism /online /get-features | ||
Enable MPIO | Dism /online /enable-feature:MultipathIo
| ||
Disable MPIO | Dism /online /disable-feature:MultipathIo | ||
Manage the MPIO configuration after MPIO is enabled | mpclaim | ||
Access the MPIO control panel (new in Windows Server 2008 R2) | MPIOCPL.exe |
To enable Windows PowerShell™ on a Server Core installation, you must enable the following features by using these commands at an administrator command prompt:
dism /online /enable-feature:NetFx2-ServerCore
dism /online /enable-feature:NetFx2-W0W64_
dism /online /enable-feature:MicrosoftWindowsPowerShell_
dism /online /enable-feature:MicrosoftWindowsPowerShell-W0W64
'Windows > 2008 & 2008 R2'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port-CSV (0) | 2012.01.10 |
---|---|
Redircmp DN (0) | 2012.01.04 |
ADMT 3.2 (0) | 2011.12.29 |
Password Setting Object 만들기 (0) | 2011.12.06 |
AD 암호 변경 전 notification 설정 (0) | 2011.12.01 |